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마당2

공들여 쌓은 석축, 다시 쌓다. 건축주가 수신호로 포크레인을 지휘해야 예쁜 면이 나온다. 사진만 먼저 보면 누가 이랬을까 싶다. 내가 그랬다. 기존 석축을 뜯어낸 재시공을 결정했다. 그 이유는 크게 두가지다. 첫째는 도로 경사가 너무 심해 조금씩 낮추다보니 경계석이 흙 위에 떠있는 형상이 되어버렸다. 당장 미관상 보기 싫을 뿐만 아니라 시간이 흘러 돌 아래 흙이 빠져나가면 붕괴의 위험도 있다. 둘째는 보강토 시공 끝면이 그대로 드러나있다. 뭔가로 빨리 막지 않으면 큰 비가 내렸을 때 블럭의 탈락도 염려되는 상황이다. 석축을 쌓을 때 중요한 사람은 포크레인 기사님이다. 어떤 기사님은 집게와 바가지를 갈아끼우느라 시간을 다 보내고 어떤 기사님은 집게로 바가지를 집어 일을 한다. 두 사람의 작업 속도는 2배 이상 난다. 그런데 아무리 잘하는 기사님이라 해도 안 보이는 면의 돌을 반듯하게 쌓는 건 .. 2021. 9. 2.
보강토, 두 번에 나눠 쌓은 이유는? 아직 석축작업이 남았다! 처음 쌓은 보강토 높이가 3700입니다. 캡까지 씌웠죠. 이정도만 돼도 상당한 위압감을 느끼게 할 정도입니다. 그런데 조금 더 올려야겠습니다. 마당의 모양도 대략 잡혔는데 앞 부분이 급하게 낮아지는 모습이었죠. 흙을 더 채워야 하는데 앞이 뚫려있으니 비가 오면 난리가 나겠죠? 1미터 정도 높이로 앞을 막아줄 무언가가 필요했습니다. 보강토를 더 쌓을지, 콘크리트 옹벽을 칠지, 조경석을 쌓을지 고민이 많았습니다. 집 건축이 진행되면서 전기업자, 목재상, 방통차사장님, 도로포장 업체 등 많은 사람들을 만나게 됩니다. 그들의 의견이 모두 다릅니다. 누군 조경석을 쌓고 철쭉을 심으라고 하고 누군 위험하니 옹벽을 치라 합니다. 아무리 생각해도 보강토 위에 옹벽은 아닌 것같습니다. 조경석을 쌓자니 풀관리가 또 어렵겠.. 2021. 9. 2.
반응형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