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보강토2

보강토, 두 번에 나눠 쌓은 이유는? 아직 석축작업이 남았다! 처음 쌓은 보강토 높이가 3700입니다. 캡까지 씌웠죠. 이정도만 돼도 상당한 위압감을 느끼게 할 정도입니다. 그런데 조금 더 올려야겠습니다. 마당의 모양도 대략 잡혔는데 앞 부분이 급하게 낮아지는 모습이었죠. 흙을 더 채워야 하는데 앞이 뚫려있으니 비가 오면 난리가 나겠죠? 1미터 정도 높이로 앞을 막아줄 무언가가 필요했습니다. 보강토를 더 쌓을지, 콘크리트 옹벽을 칠지, 조경석을 쌓을지 고민이 많았습니다. 집 건축이 진행되면서 전기업자, 목재상, 방통차사장님, 도로포장 업체 등 많은 사람들을 만나게 됩니다. 그들의 의견이 모두 다릅니다. 누군 조경석을 쌓고 철쭉을 심으라고 하고 누군 위험하니 옹벽을 치라 합니다. 아무리 생각해도 보강토 위에 옹벽은 아닌 것같습니다. 조경석을 쌓자니 풀관리가 또 어렵겠.. 2021. 9. 2.
보강토 쌓기. 건축주가 준비해야 할 것은? #계약서 작성은 필수 전원주택 부지처럼 지적도상 경계는 있는데 현황은 연속된 토지의 경우 토목작업이 필요하고 필연적으로 단차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 때 두 토지의 경계 담을 윗 토지주가 쌓아야 하는지 아래 토지주가 쌓아야 하는지 의견이 분분합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아쉬운 사람이 쌓는다입니다. 원칙은 윗 부지 사람이 자신의 땅이 무너지거나 토사가 흘러 아랫부지 사람에게 피해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그러나 아랫부지 건축주가 먼저 개발을 한다면 개발에 의해 생기는 법면에 대한 마무리를 지어야 합니다. 그래야 개발행위에 의한 윗 토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죠. 때문에 기다리는 자가 승리하는 겁니다. 그러니 내가 급하다면 손햅니다. 그래도 해야 한다면 할 수 없죠. 법면을 만들어 풀을 심던 조경석을 쌓거나 석축을 쌓아도 내.. 2021. 9. 2.
반응형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