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자아빠 경제공부

테슬라, 12월 21일 넘겨서 팔아라!? 매수 대기 자금만 55조!

by onHappy 2020. 11. 20.
반응형

 

한참을 횡보하던 테슬라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오랜 시간 횡보하던 테슬라가 snp 편입소식에 무서운 상승세를 보여주고 있다. 

비록 소액 주주지만 기쁜 마음도, 서운한 마음도 있다. 

사실 이번 횡보장에 조금 더 담을 수 있었다면 좋았겠다는 서운함이 더 크다.  

노는 현금을 두고 못 보는 성격이라 불필요한 클릭으로 

무거운 주식을 사고 말았다. 

테슬라를 샀더라면 얼마나 좋았을까? 

 

후회는 접어두고 테슬라의 향후 주가 흐름을 예측하면 단기적으로 호재가 더 크다고 생각한다. 

그 이유는 S&P 500 편입으로 기관들의 패시브 펀드 자금이 대거 테슬라 매입으로 들어가야 하는 상황이 됐기 때문이다. 

 

그 기간은 12월 21일이며 S&P 다우존스가 펀드 운용사들에게 12월 14일 분할 매수 기회를 준다는 소식도 들려

14일과 21일 대규모 자금이 테슬라 매수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분할매수 이유는 테슬라의 시총이 유래없이 크기 때문. 

어쩔 수 없이 테슬라 주식을 매입해야 하는 기관의 자금 규모는 500억 달러, 한화로 약 55조 3천500억에 달한다. 

 

패시브 펀드와 경쟁해야 하는 액티브 펀드 자금 역시 테슬라를 추가로 영입할지 고민해야 하는 시점이 됐다. 

 

테슬라와 시총이 비슷한 존슨엔존스를 포함하는 펀드는 약 2,000여 개에 달하지만 

 

테슬라를 포함한 액티브 펀드는 700여 개에 불과하다. 

 

존슨앤존스는 실적으로 주가를 견인하지만 테슬라는 탄소배출권 말곤 실질적 적자 기업이라는 평가가 그동안 우세했다. 그럼에도 S&P 500 종목 중 테슬라보다 시총이 높은 종목이 얼마 안 된다는 점은 액티브 펀드 운용사들에게도 

큰 고민지점이 아닐 수 없다.  

12월이 되면 째깍째깍 시계는 간다. 

무조건 테슬라를 사야하는 대기 자금이 최소 55조. 

이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기관들은 담고 있는 종목 중 일부를 매도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테슬라가 강세의 움직임을 보이는 동안 그 외의 종목들에겐 강한 매도세가 몰릴 수도 있다는 뜻이다. 

본인이 투자하는 상품이 인덱스를 따라 움직이는 패시브 EFT, 펀드라면 이런 움직임을 잘 포착해 내는 것이 중요해 보인다.

 

테슬라를 팔 거면? 

내 판단엔 12월 21일 이후가 답이다. 

반응형

댓글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