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화

<42> 매이져리그 최초 흑인선수. 제키 로빈슨

by onHappy 2013. 9. 2.
반응형
42. 

영화 42는 메이져리그 최초의 흑인선수에 대한 영화다.

영화는 1945년 시작된다. 전쟁이 끝나고 아프라카계 미국인들 역시 돌아왔다. 

그러나 여전히 인종차별은 어디에서나 존재했다.

 동네에 흑인이 산다는 것 자체만으로도 불쾌감을 느끼던 시절이었다.  

화장실은 흑인용이 따로 있었고 야구 경기장에도 백인과 흑인은 나뉘어서 입장했다. <입구가 달랐다.>



다져스의 구단주는 휼륭한 흑인 플레이어를 발굴해낸다.


그의 이름은 재키 로빈슨. 


2군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며 1군에 발탁, 다저스에 입단하지만 동료들부터 흑인과 함께 뛸 수 없다며 동료로 받아들이길 거부한다. 


그러나 단장은 단호했다.


키를 거부하면 다저스 유니폼을 벗길 수도 있다는 신념을 보여줌으로 선수들을 진정시킨다. 


키는 모욕적인 순간을 잘 참아넘긴다. 


상대 감독의 모욕과 조롱, 팀 동료의 불만, 관객들의 야유, 원정지역의 차별대우 등 그가 넘어야 했던 산은 적지 않았다. 그는 분노를 삭이며 산을 넘는다. 


그의 활약으로 마침내 다저스는 우승을 차지하고 이후로도 제키는 훌륭한 플레이어의 자릴 지킨다. 


그의 활약은 차별받던 흑인들에겐 희망이었으며 흑인의 권리를 확대시키는 계기를 만들어냈다. 


흑인 선수들이 메이져리그에 한두명씩 자릴 잡았고 백인 선수들의 인식이 변화기 시작했다. 

현재 재키의 백넘버 42는 메이져리그 모든 구단에서 유일하게 영구제명된 번호이다.


기념일 열리는 경기에서 모든 메이져리그 선수들은 자신의 번호 대신 제키의 42번이 적힌 유니폼을 입고 경기를 치른다. 


영화를 보며 떠오른 인물이 있다. 


우리나라의 류현진. 


그의 선전을 기대해본다. 



자막파일을 구하려 들어간 블로그는 이런저런 사이트로 연결돼 짜증나게 했다.


편하게 자막 구하시라고 여기에 올려둔다. 


B42.2013.1080p.BluRay.DTS.x264.smi



해리슨 포드가 구단주인 브랜치 리키. 주인공인 재키 로빈슨은 채드윅 보스만이 연기했다. 

뉴스룸에 나오는 똘아이 뉴스피디가 이 영화에서도 등장하는데 이태리 선수인 랄프 브랑카를 연기한 해미스 링클레이터다. 


Cast (in credits order)

Chadwick Boseman...Jackie Robinson

Harrison Ford...Branch Rickey

Nicole Beharie...Rachel Robinson

Christopher Meloni...Leo Durocher

Ryan Merriman...Dixie Walker

Lucas Black...Pee Wee Reese

Andre Holland...Wendell Smith

Alan Tudyk...Ben Chapman

Hamish Linklater...Ralph Branca


영화에서 다저스가 브루클린 다저스라고 나와 사전을 찾아봤다.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영어: Los Angeles Dodgers)는 미국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를 연고지로 하는 프로 야구 팀이다.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서부 지구 소속이다. 뉴욕의 브루클린에서 브루클린 다저스로 시작해1958년 캘리포니아 주의 로스앤젤레스로 연고지를 옮겼다. 홈구장은 다저 스타디움이다.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와는 라이벌 관계다.

영구 결번으로는 피 위 리스의 1번, 토미 라소다의 2번, 듀크 슈나이더의 4번, 짐 길리엄의 19번, 돈 서튼의 20번, 월터 알스턴의 24번, 샌디 쿠팩스의 32번, 로이 캄파넬라의 39번, 재키 로빈슨의 42번, 돈 드라이스데일의53번이다.

2012년 3월 26일 메이저리그 공식홈페이지에 따르면 로스앤젤레스 다저스가 미국프로농구 “전설”매직 존슨이 포함된 투자단에 최종 낙찰됐다. 존슨은 워싱턴 내셔널스 구단 간부를 지낸 스탠 카스텐 등과 함께 투자단을 구성했고 최근 시카고에 기반을 둔 글로벌 투자 전문회사 구겐하임 파트너스를 투자단에 끌어들이는데 성공했다.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의 인수 금액은 23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1] -위키백과

 






반응형

댓글


loading